○ 값(data, value) 표현
① 상수(constants) : 고정 불변의 값
document.write(3);
document.write(-4);
document.write("A");
document.write('가');
② 변수(variable) : 변하는 값
- 변수를 선언할 때는 변수명 앞에 변수 타입을 붙임
- 변수명은 영어, 숫자, 일부 특수문자(_, $)만 사용가능
- JavaScript 변수 타입 : var, let, const / nothing
- var를 가장 많이 사용, let과 const는 2015년에 새로 생긴 변수타입
var a=3; //a라는 변수를 선언하고, 3을 저장
var b; //b라는 변수를 선언
b=10; //b에 10을 저장
document.write(a+b); //13
○ nothing
-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
name = "손흥민"; //'변수타입+변수명'으로 선언하지 않는 것도 가능
age = 29;
height = 183;
document.write(name); //"손흥민"
document.write(age); //29
document.write(height); //183
○ var
- variable :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
- 변수 선언 전에 사용할 수 있음
- 이미 선언된 변수를 다시 선언해도 됨 (동일한 변수명)
- 초기 값을 주지 않아도 됨
- 값을 다시 할당할 수 있음
var a; //초기값 주지 않고 변수 선언 가능
var a=2; //이미 사용된 변수명 a를 재선언 가능
b=5;
var b; //b 변수 선언하기 전에 사용가능
var c=1;
c=10; //변수값 다시 할당 가능
document.write(a); //2
document.write(b); //5
document.write(c); //10
○ let
- 변수 선언 전에 사용할 수 없음
- 이미 선언된 변수를 다시 선언하면 안 됨
- 초기 값을 주지 않아도 됨
- 값을 다시 할당할 수 있음
d=1; //※에러: d를 선언하기 전에 사용할 수 없음
let d=2;
let e=3;
let e=6; //※에러: 이미 사용한 변수명 e를 사용할 수 없음
let f; //초기값 지정하지 않아도 됨
f=4;
f=6; //변수에 새로운 값 저장하는 것 가능
○ const
- constant : 변수의 상수화
- 변수 선언 전에 사용할 수 없음
- 이미 선언된 변수를 다시 선언하면 안 됨
- 초기 값을 줘야함
- 값을 다시 할당할 수 없음
g=1;
const g=2; //※에러: d를 선언하기 전에 사용할 수 없음
// Cannot access 'g' before initialization
const h=3;
const h=6; //※에러: 이미 사용된 변수명을 다시 사용할 수 없음
// Identifier 'h' has already been declared
const i;
i=4; //※에러: 초기값을 지정해 줘야 함
// Missing initializer in const declaration
const j=2;
j=6; //※에러: 값을 다시 저장할 수 없음
//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
○ var, let, const 한 눈에 비교
'Frontend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. JavaScript 연습문제 모음 (삼항연산자, 형변환 등) (0) | 2022.04.26 |
---|---|
05. JavaScript 형변환(Type Conversion) (0) | 2022.04.26 |
04. JavaScript document 객체 (0) | 2022.04.26 |
02. JavaScript 연산자 (operator) (0) | 2022.04.25 |
01.JavaScript 기본 문법, 자료형 (0) | 2022.04.25 |
댓글